한국의 아름다운 전통, 3D 모델링으로 이어가다

사라져가는 한국 공예의 유산을 혁신적인 기술로 보존하고 알립니다.

사명 알아보기

우리의 사명

Symbolic image representing the blend of tradition and technology.

고대부터 이어져 온 한국의 전통 공예는 단순한 제작 기술을 넘어 우리 민족의 역사와 정신을 담고 있습니다. 한 점의 목가구에는 수십 년의 세월을 바친 장인의 땀과 고뇌가, 고운 한지에는 자연의 순환을 담으려는 선조들의 지혜가, 섬세한 매듭에는 복을 기원하는 마음이 깃들어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 공예는 그저 오래된 기술이 아니라, 우리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살아있는 역사입니다.

그러나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많은 장인들이 고령화로 은퇴하고 기술 전수가 단절되면서, 이러한 소중한 문화유산이 잊혀질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이 유산을 잃는 것은 단순히 기술 하나를 잃는 것이 아니라, 우리 미래 세대가 과거와 연결될 수 있는 소중한 통로를 잃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안타까운 현실에 주목하며, 최첨단 3D 모델링 기술을 전통 공예 보존에 혁신적으로 접목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단지 기술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그 안에 담긴 장인의 손길과 철학까지 디지털로 담아내고자 노력합니다. 정밀한 디지털 기록을 통해 사라질 위기에 처한 귀한 기술들을 영구적으로 아카이빙하고, 이 디지털 자원을 분석하여 기술의 원리를 심층적으로 이해합니다. 또한,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는 후학들이 전통 기술을 쉽게 접하고 학습할 수 있는 몰입형 교육 자료로 활용됩니다.

더 나아가, 디지털 아카이브는 전통 디자인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새로운 창작 활동의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전통이 박물관 속 유물이 아닌 현재와 미래를 함께 호흡하는 '살아있는' 유산으로 이어지게 합니다. 우리의 비전은 한국 전통 공예가 디지털 시대에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새로운 형태로 계승 발전하여 전 세계와 공유되는 것입니다.

'코리아'는 기술과 전통의 조화로운 만남을 통해 한국 문화유산 보존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우리 전통의 아름다움과 깊이를 느끼고 사랑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장인, 기술자, 교육자, 그리고 지역 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며 지속 가능한 보존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사라져가는 유산: 한국 전통 공예

Example of beautiful traditional Korean wooden furniture.

한국 전통 공예는 단순한 장식품이 아닙니다. 자연에서 얻은 나무, 흙, 종이, 실 등 순수한 재료와 수백 년간 세대를 거쳐 축적된 장인의 뛰어난 기술, 그리고 한국적인 미학이 만나 탄생한 삶의 예술입니다. 각 공예품에는 선조들의 삶의 방식,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 그리고 정신적인 깊이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목가구의 견고한 짜임, 한지의 은은한 빛깔과 질감, 도자기의 유려한 곡선, 자수의 섬세한 문양 등은 모두 한국 고유의 아름다움과 철학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급격한 산업화와 대량 생산 체제 속에서 전통 공예의 가치는 퇴색되고, 손으로 만드는 수고로운 과정보다 빠르고 저렴한 결과물이 우선시되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젊은 세대가 힘든 전통 기술 전수에 나서기를 꺼리면서, 많은 분야에서 장인들의 맥이 끊길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오랜 시간과 훈련을 통해 체득되는 장인의 기술은 단순히 매뉴얼화할 수 없는 깊이가 있습니다. 이 기술들이 사라지면, 한국 문화의 중요한 한 축이 영원히 사라지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위기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전통 공예가 과거의 유물이 아닌 현재와 미래에도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보존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혁신을 통한 보존

3D scanner capturing details of a craft object.

정밀한 디지털 아카이빙

최첨단 3D 스캐닝 장비를 사용하여 국보급 문화재부터 개인 장인의 작품까지, 다양한 전통 공예품의 형태, 크기, 질감, 심지어 미세한 제작 흔적까지도 오차 없이 디지털 데이터로 기록합니다. 고해상도 3D 모델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까지 확대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환경 변화나 재해로부터 영구적으로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는 귀중한 디지털 유산이 됩니다. 이 데이터는 전통 기술의 과학적 분석과 연구에도 활용되어, 숨겨진 기법이나 재료의 비밀을 밝혀내는 데 기여합니다.

Person interacting with a 3D model on a screen.

교육 및 전수 자료 개발

복잡하고 손이 많이 가는 전통 기술은 배우는 데 오랜 시간과 숙련된 장인의 지도가 필수적입니다. 3D 모델 데이터는 이러한 기술 전수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혁신적인 도움을 줍니다. 학생들은 3D 모델을 줌인/아웃하며 상세 구조를 살펴보고, 분해 및 조립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작 과정을 단계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통 공예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특히 젊은 세대가 흥미를 가지고 기술을 배울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식을 제공합니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누구나 한국 전통 기술을 학습할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Abstract visual representing data and design.

새로운 창작의 영감

디지털 아카이브는 과거의 기술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미래의 창작을 위한 무한한 자원이 됩니다. 장인이 만든 전통 문양, 구조, 색감 등의 디지털 데이터는 현대 디자이너와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영감을 제공합니다. 이를 3D 프린팅,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가상/증강 현실(VR/AR) 등 최신 기술과 접목하여 전통 디자인 요소를 활용한 현대적인 공예품, 디자인 상품, 디지털 아트 등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전통이 현 시대의 미학과 만나 새로운 생명력을 얻고, 더 넓은 대중에게 그 가치를 알리는 기회가 됩니다.

함께하는 사람들

팀장 박지훈

박지훈

팀장 / 기술 총괄

3D 모델링 및 디지털 아카이빙 분야 전문가로, 전통 공예 보존에 대한 깊은 이해와 기술적 역량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습니다. 한국 문화 유산의 디지털 전환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무형문화재 고문 최은영

최은영

무형문화재 고문

수십 년간 전통 도자기를 빚어온 무형문화재로서, 공예 기술의 정수를 디지털로 담아내는 과정에 중요한 자문과 영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전통의 가치를 전합니다.

교육 담당 김민지

김민지

교육 및 커뮤니티 담당

문화 교육 전문가로서, 3D 아카이빙 자료를 활용한 전통 공예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합니다. 미래 세대가 전통과 기술을 즐겁게 만날 수 있도록 다리 역할을 합니다.

희망을 이야기하다: 사람들의 목소리

Photo of artisan Kim Young-soo.

김영수 장인

목가구 제작 무형문화재

"'코리아' 덕분에 수십 년간 쌓아온 제 기술과 손길이 디지털로 정밀하게 기록될 수 있게 되어 후대에 이어질 수 있다는 희망을 보았습니다. 사라질까 두려웠던 제 평생의 업이 영원히 남게 되었다는 사실이 큰 위안이 됩니다. 젊은이들이 이 자료를 통해 제 기술의 깊이를 배우고 발전시키기를 바랍니다."

Photo of student Lee Ji-eun.

이지은 학생

디자인 전공

"학교에서 전통 공예를 배울 때 직접 보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았는데, '코리아'의 3D 모델링 자료를 보니 훨씬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었어요. 손으로 직접 만드는 것만큼이나 기술의 원리를 디지털로 탐색하는 과정이 흥미로웠습니다. 미래에 전통 문양과 기술을 현대 디자인에 접목하는 작업을 꼭 해보고 싶습니다."

Photo of researcher Park Jun-ho.

박준호 연구원

한국공예연구원

"'코리아'의 정밀한 3D 아카이빙 자료는 전통 공예의 구조적 특성과 제작 기법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 매우 귀중한 자산입니다.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세밀한 분석이 가능해지면서 전통 공예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습니다. 이 자료를 통해 우리 전통 기술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릴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Photo of artisan Choi Min-jun.

최민준 장인

한지 제작 장인

"제가 평생 만져온 한지의 섬유질과 독특한 질감이 3D 모델로 그대로 구현되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제 손맛이 기술로 기록된다는 것이 신기하고, 이 자료가 한지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데 도움이 된다니 기쁩니다."

Photo of student Park Seo-yeon.

박서연 학생

고등학생

"워크숍에서 3D 스캐너로 제가 만든 작은 매듭 작품을 찍어보고 모델링도 따라 해봤어요. 어렵게만 생각했던 전통 공예가 재미있는 기술과 만나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친구들에게도 추천하고 싶어요."

Photo of community member Jung Hye-jin.

정혜진 씨

지역 주민

"우리 동네에 계신 장인분의 작품이 디지털로 보존된다는 소식을 듣고 자부심을 느꼈습니다. 이제 그 작품을 온라인으로도 볼 수 있고, 아이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정말 좋습니다. 우리 문화유산을 지키는 중요한 활동이라고 생각해요."

Photo of supporter Kang Ji-hoon.

강지훈 후원자

기업가

"한국 전통 공예가 디지털 시대에 혁신적으로 보존되는 '코리아'의 활동에 깊이 공감하여 후원을 결정했습니다. 이는 과거를 지키는 동시에 미래를 준비하는 중요한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의 성과를 기대합니다."

Photo of heritage expert Cho Yoon-seo.

조윤서 학예사

문화재 전문가

"전통 공예의 디지털 아카이빙은 문화재 보존 분야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습니다. 특히 소멸 위기에 있는 기술의 상세 기록은 미래 연구와 복원에 필수적인 자료가 될 것입니다. '코리아'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Photo of exhibition visitor Baek Seung-woo.

백승우 관람객

디지털 전시 관람객

"3D로 보는 전통 공예품은 직접 보는 것과는 또 다른 매력이 있었습니다. 자유롭게 돌려보고 확대하며 세부 디자인을 감상할 수 있어 좋았고, 전통이 이렇게 현대 기술과 만날 수 있다는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Photo of partner representative Lee Soo-jin.

이수진 대표

문화재단 대표

"저희 재단은 '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더 많은 장인분들이 디지털 아카이빙 혜택을 받고, 그들의 기술이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기술과 전통의 상생 모델을 함께 만들어가는 귀한 파트너입니다."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

한국 전통 공예 보존 활동에 여러분의 따뜻한 관심과 참여가 큰 힘이 됩니다.

새로운 소식

Traditional Korean knots.

전통 매듭 3D 아카이빙 프로젝트 완료

2023년 10월 26일

수개월에 걸친 한국 전통 매듭 기술의 정밀한 3D 아카이빙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매듭 기술과 형태를 디지털 데이터로 구축하여, 복잡한 매듭 기법의 분석과 교육 자료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자세히 보기 →
Children participating in a workshop.

어린이 대상 3D 공예 체험 워크숍 개최

2023년 10월 20일

미래 세대에게 한국 전통 공예의 아름다움과 3D 모델링 기술의 접목을 알리는 체험 워크숍을 개최했습니다. 어린이들은 직접 간단한 공예품을 만들고 3D 스캐너를 체험하며 전통과 기술의 만남을 즐겁게 경험했습니다.

자세히 보기 →
Digital exhibition display.

디지털 공예 전시회 참여

2023년 10월 15일

국내 주요 디지털 아트 전시회에 참가하여 3D 모델링으로 재해석된 한국 전통 공예품 아카이브를 선보였습니다. 방문객들은 혁신적인 방식으로 구현된 우리 전통의 아름다움에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자세히 보기 →
Handshake representing partnership.

XX대학교와 MOU 체결

2023년 11월 5일

한국 전통 공예 교육 및 연구 활성화를 위해 XX대학교와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습니다. 양 기관은 3D 아카이브 공동 활용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협력할 예정입니다.

자세히 보기 →
Computer screen showing 3D models.

온라인 3D 아카이브 일부 공개

2023년 11월 10일

구축된 3D 아카이브 데이터 중 일부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일반에 공개했습니다. 누구나 웹사이트에서 한국 전통 공예품의 3D 모델을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
Event crowd.

전통 공예 보존 기금 모금 행사 성료

2023년 11월 15일

한국 전통 공예 보존 활동을 위한 기금 모금 행사가 많은 분들의 참여와 관심 속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모금된 기금은 추가적인 아카이빙 프로젝트와 교육 사업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자세히 보기 →

문의하기

저희 활동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나 참여 방법을 알고 싶으시면 아래 양식을 통해 연락 주세요. 최대한 빠르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한국 전통 공예 보존에 대한 여러분의 관심과 문의를 환영합니다.

연락처 정보

이메일: info@

전화: +82 (0)2 1234 5678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23, 4층

이 웹사이트는 쿠키를 사용하여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확인해주세요.